목록넷플릭스 (186)
Rexism : 렉시즘
소위 점프 계 작품 모두를 좋아하는 것은 아니거니와 [드래곤 볼], [슬램 덩크] 같은 레전드는 아니더라도 [바람의 검심]은 어느 정도 진도를 따라갔고, 지지했었다. [바람의 검심] 이후 작가 와츠키 노부히로의 경력이 예전 같지 않음도 알고 있고, 아동 포르노 소지 혐의는 그 자체로 최악이었지만 당시에 아메리칸 코믹을 인용하던 대목들에선 기묘한 애정을 가지기도 했다. 이렇게 실사로 돌아온 켄신의 세계는 '일본 현지에서 만든, 망가 원작 영화 중 자장 돋보이는 성취'라는 점에서 특기할만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매번 어색한 분장과 가발, 코스츔, 엇나간 개그 재현 등 이런 망가 원작 작품들의 숙면을 벗어나는데 성공했고, 이어지는 시리즈에서도 그 기조를 잘 이어나간 덕인 듯하다. 원작 단행본을 읽었던 입장에선 ..
자주 쓰는 표현이지만, 게임과 영화는 근래 상당히 서로를 욕망하거나 분위기를 표방하는데, 그중 프랑스에 본거지를 둔 유비소프트의 경우 이런 기조를 표 나게 드러내는 경향이 있는 듯하다. 제작하는 작품들의 노선이 일관되게 오픈 월드 장르 라인업이라는 점과 이처럼 아예 자신들의 IP를 활용한 스튜디오 실사 영화를 만든다는 점에서 욕망의 크기가 작지 않게 보인다. 실제로 마이클 패스밴더, 마리옹 코티아르를 기용한 이번 1편을 필두로 3부작을 꾀한 모양인데, 결과는 아시다시피 흥행 참패로 한 때의 여름밤의 꿈이 된 셈이다. '신뢰의 도약'으로 명명하는 시리즈의 키 비주얼 아이콘을 스크린으로 보는 것은 나름의 황홀경인데, 어쨌거나 결과는 좋지 않았으니... 마이클 패스밴더과 마리옹 코티아르는 특히나 감독 저스틴 ..
[어쌔신 크리드]의 유비소프트나 [몬스터헌터]의 캡콤의 자사 IP에 대한 영화화 관리는 성과는, 현재 시점으론 평가가 높지 않다. 게임과 영화는 서로 간의 영향력을 부인하진 않지만 여전히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지금도 거리감만 형성하고 있다. 작품 속 절지동물이 야기하는 위협을 보며 나는 [에일리언] 시리즈나 [스타십 트루퍼즈] 등의 작품이 떠올랐다. 일종의 차원 너머 이 세계 물 같은 극 중 세계관은 가히 [킹콩]의 스컬 아일랜드 뺨치는 악몽의 공간이더라. 인체 안에 알을 낳고 기생해 파열하는 악몽의 순간이 군장비 총격과 몬스터 사냥이 공존하는 세계 속에서 펼쳐진다. 그건 아마도 [레지던트 이블] 시리즈의 영상화를 기어코 시리즈를 통해 이룬 폴 앤더슨 감독의 한 길 B급 행보의 성취가 아닐는지...
"헉... 이제 내게 하는 저 이야기는 바로 고백인 건가?" 이런 식의 연애 감정 초입의 애송이 심정은 이런 애니메이션, 그래 신카이 마코토식 boy meet girl 서사의 전형인 걸까. 사실 그 공식과 번복에 있어 감독의 전작 [너의 이름은]의 영향력을 무시하지 못한다. boy meet girl 공식은 실상 신카이 마코토 만의 전유물이 아닐뿐더러 유수의 지브리 작품들에서부터 뚜렷한 원형이기도 한 것이라 새삼 문제 삼는 게 지금으로선 오히려 피곤한 일일 것이다. 여전히 무속과 전통에 의해 속박 비슷하게 묶인 운명의 여자 아이 이야긴 반복을 논외로 하고서도 좀 심하다는 빈정거림을 낳고, 1년 내내 빗줄기가 그치지 않는 도쿄의 풍광과 전철 등의 교통수단 묘사는 감탄스러운 만큼 더더욱 아까운 성취였다. 의무..
되돌아와서 다시 생각한들 뭔가 싶겠지만, 처음 세가의 이름으로 닌텐도의 마리오에 대한 대항로서의 소닉은 그렇게 귀엽거나 명료한 컬러의 아이콘형 캐릭터는 아니었다고 한다. 흡사 펑크족의 외양에 심술궂은 사고뭉치의 이미지였다고. 그래서인지 처음 극장판 트레일러의 공개 당시 모델링과 디자인에 있어 반발이 컸던 것은 지금 생각하면 무색하다 싶을 정도의 과거사이다. 한결 안정적으로 리파인 된 소닉은 현재 시점에선 [슈퍼 마리오]의 극장판 같은 게임 역사의 재난에 비한다면, 한결 다행으로 보이긴 하다. 게다가 그 천하의 마리오도 앞으로 디지터 애니로 새롭데 나온다고 하니 [수퍼 소닉]의 공개는 늦었다면 자칫하면 큰일이었다. 닥터 에그의 헤어가 왜 대머리형이 되었나, 소닉의 다이나믹 듀오인 테일즈의 공개 등의 여지까..
911 전화 교환을 통해 결찰이 납치로 추정되는 일의 내막을 포착하고, 그 통화 한 통으로 그 전과는 전혀 다른 하루를 열게 된다는 점에, 이런저런 한정된 정보량-일의 파국에 대한 진실을 알아간다는 점에서 존 조의 영화 [서치] 등을 연상케 한다. LA 등지를 붉게 물들인 큰 화재와 그로 인해 누적되어 가는 신고 전화와 요청 등이 피로감을 실감케 하고, 아닌 게 아니라 [나이트 크롤러]로 퀭한 눈매와 위협적인 예민한 캐릭터를 발산했던 제이크 질렌홀의 전공 연기를 여기서도 발견할 수 있다. 작품 자체는 2018년작(국내는 2019년 갸봉) 동명의 덴마크 작품을 고스란히 리메이크한 작품이라 평작과 나름 뼈가 있는 작품을 오고 가는 안톤 후쿠아의 연출을 놓고도, 큰 기대는 좀 접어도 된다. 그래도 말미로 갈수..
최근 론칭한 [D.P]가 형성한 붐 덕에 혹시나 하는 기대를 꺼내 들고 시청했으나 사람 마음 가라앉히는 어떤 참혹한 기운에 그렇게 흥이 가진 않았다. 아무래도 사람 생명 값 한 명당 1억 원의 가치를 매기는 금전 만능주의와 더불어 낭자하는 피비린내 서사에 호감을 두고 보기엔 한계가 있었다. 막바지, 주인공이 선택하는 행보에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시즌 2의 탄생을 기대하는 이들도 있겠으나 이미 이번 한 시즌으로도 충분히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알겠고, 마음도 거리감을 두었기에 동행은 여기서 끝. 주식과 코인으로 행여나 자신의 인생길에서 혹시나 하는 마음이라도 품어보는 지금 세대에겐 이 작품의 온도는 맞겠으나, 그런 의미에서 정을 주기가 더 힘들더라는...
메리 엘리자베스 윈스티드의 훤칠한 신장과 짧은 헤어를 보고, 왠지 [에일리언 2] 당시의 시고니 위버를 떠올렸다. 워낙 윈스티드 본인의 필모 자체가 호러 퀸의 위치에 있으니 나름 연결해 생각한 탓이다. 옛적 영화 [니키타] 등의 영화에서 홀로 총기류로 무장해 상대를 쓸어버리는 분위기의 연장선에 [케이트] 역시 그 계보를 함께 한다. 여기에 방사능 물질에 노출되어 남은 생명줄이 하루 기한 남았다는 설정까지 얹어 그 위기를 배가시키는 것이다. 이어 자연스럽게 야쿠자들에게 자비 없는 총질과 칼질로 가혹한 응징을 잇는다는 [킬빌]적인 참극을 조성하게 된다. 세딕 니콜라스 트로얀 감독이 [헌츠맨: 윈터스 워]의 다음 작품으로 잡은 이 넷플릭스산 주문작은 일본의 도심과 그곳 언어와 서구가 선호하는 그곳의 구경거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