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김영하 (2)
Rexism : 렉시즘
[퀴즈쇼] 덕에 김영하에 대한 잡티 같은 관심을 접을 수 있었는데, 우연치 않게 읽을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날렵하게 잘 읽히고 분명한 흡입력이 있다. 인간으로서 가질 수 있는 최소한의 정의감과 의분을 품고 읽다가 막판에 하나둘 아아 무너지는 구조라니. 기록과 메모들은 [메멘토] 주인공의 문신마냥 허무한 것이었고, 기억으로 쌓은 육체는 실은 텅빈 공간이었다. 개인이 항변할 수 있는 크기를 넘어선 타인의 규정과 외부의 완강함, 기분좋은 무기력함을 선사한다. 살인자의 기억법국내도서저자 : 김영하(Young Ha Kim)출판 : 문학동네 2013.07.24상세보기
영화감독이자 시나리오 작가인 최고은씨의 타계를 전후로 '글 쓰는 직업군'과 '문화산업의 테두리 안에서의 창작노동자들의 처우'에 대한 이야기들이 오갔다. 나같은 경우, '글 쓰는 직업군'을 낳는 전공 출신인지라 '글 쓰며 인생을 구가할 수 있는' 순진무구한 일장춘몽을 말했던, 몇몇 지우들이 떠올랐다. 대개는 그들은 교단(또는 학원계)에 있으며, 대개는 글과 관계없이 일상의 다른 영역들에서 가투를 벌이고 있다. 각오가 부족했던 것일까. 그럴수도 있다. 정말 치열했고 덜 순진했던, 그리고 나와 덜 절친했던 몇명의 사람들도 떠오른다. 그들은 지금도 굴하지 않았을까. 평론가 조영일과 소설가 김영하가 공교롭게도 최고은씨의 타계 전부터 벌여온 '문학과 작가론'에 대한 논쟁은 익히 들어 알고 있었다. 하지만 부끄럽게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