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픽사 (16)
Rexism : 렉시즘
분명히 픽사 답게 재밌다. 이미 토이 스토리 시리즈를 통해 액션의 앙상블은 환상적이고 눈을 떼기 힘들다. 이왕이면 도입부와 엔딩 크레딧의 쿠키를 즐겁게 감상하기 위해 [니모를 찾아서]를 복습하는 것이 훨씬 좋을 것이다. 그럼에도 미흡한 자신을 탓하는 것만이 능사가 아닌, 자신에게 내재된 것으로 상황을 타개하는 것이 옳음을 전달하는 이 교훈물의 뼈대 주변엔 주제와 맞지 않는 바보 단역들이 웃음의 근육을 일부 채우고 있었다. 그런데 그게 썩 보기 편한 것은 아니었다. + 덧붙여 어린이 관객들에게 좀 무섭게 보일, 생각보다 강도가 있는 연출들이 있었는데 괜찮았을까 모르겠다.
- 원래 픽사의 작품은 단편과 본편의 주제 의식이 일치하거나 공명하진 않는데, 이번에는 웬일로 어떤 정서면에서 통하는 구석이 있었다. 단편치고는 액션이 굉장히 강조된 작품이었는데 마지막에 때려주는 코드가 요즘 픽사와 무관하지 않았다. (물론 정치적 함의가 다소 내포된 작품이긴 했다) 확실히 요새 픽사의 작품들이 보여주는 경향이 어떤 특정 감정과 진행에 치우친게 확실해 보였다. 앞으로 개봉할 [도리를 찾아서] 역시나 이런 귀결을 보여주지 않을까 싶었다. 여기에 더해 [굿 다이노] 작품 자체가 제법 슬픔으로 범벅된 묘한 쓸쓸함이 있었다. 미주 지역 관객들에게 먹힐만한 서부극 코드에도 불구하고, 이내 사라질 것들에 대한 회고적 풍경을 보는 안타까운 시선이 굉장히 도드라졌고 이는 농경문화(!)에 닿은 작품 속 ..
픽사가 잘해오던 것으로 다시 돌아왔다. '우리가 서로 캐릭터가 달라 이렇게 투닥거리고 있지만, 지금 빨리 힘을 합쳐 돌아가서 상황을 정상으로 돌려야 해' 라는 상황은 [토이 스토리] 시리즈의 주 구성이었고, 그 여정의 묘사는 [UP]과도 유사하다.(감독이 마침 UP의 공동 연출자이기도 했구나.) 여기에 여정 도중에 마주치는 (성장기 아이의) 향수 정서를 상징하는 것들의 묘사도 겹친다. 토이 스토리에선 그것이 물질이었지만 여기에선 기억과 상상이다. 이것을 뒷받침해주는 추상화 공간, 잠재의식 공간 등에 대한 묘사는 오랜 스토리 협업 과정에서 나온 것일테다. 다른 작품들에 비해 초반 몰입에 있어 다소 붕뜬다는 기분이 들었는데 어느샌가 나는 '슬픔이'가 하는 모든 장면들을 모두 주시하고 있었다... 게다가 내가..
이 듀오는 어떤 계기로 [몬스터 주식회사] 최강의 팀이 되었나에 대한 기원을 살펴본다. 그런데 그게 궁금한가? [메리다와 마법의 숲]에서처럼 이번 작품 역시 [니모를 찾아서], [라따뚜이] 당시의 픽사를 재현하진 못하다. 도대체 아빠 생선이 아들 생선을 찾아 나서는 이야기가, 도대체 쥐가 요리를 하는 이야기가 뭐가 재밌을까 싶은 관객들에게 혼을 쏙 빼는 재미를 주던 당시의 픽사 말이다. 물론 꼬마부터 대학생인 마이크 와조스키는 걸출하게 귀여운 캐릭터고, 존 굿맨의 목소리가 어우러진 설리반의 모습도 반갑다. 그럼에도 전작이 준 온기의 수치에도 닿진 못하고, 심지어 본편 이전의 단편 [파란 우산]조차도 다소 싱거워 보인다. [몬스터 대학교]는 여전히 재미있는 픽사의 작품이지만, 그 자체로만 만족하는건 아닌가..
왕국 대대로 내려오는 전통을 거부하며, 자신만의 인생을 즐기려는 사춘기 좌충우돌 공주님 이야기. 이런건 사실 픽사보다 디즈니가 전매 특허 아닐까. 디즈니 쪽에서 배급할 [주먹왕 랄프] 쪽이 차라리 조금 더 픽사에 어울려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벅스 라이프]나 [카] 시리즈처럼 상대적으로 픽사 제작물 중 평가가 낮았던, 작품들에 비해서도 [메리다와 마법의 숲] 쪽이 조금 애정이 덜 가는 이야기인 것도 내 감상이다. 뭔가 이런저런 평탄스러움 속에서 빛나는 '재기'가 좀 부족해 보였던 것이다. 포스터에서 보여준 신비한 숲속과 자연의 풍광이 더 부각되었다면 좋지 않았을까. 성장담도 좋지만 내다보이는 이야기잖아요... + 쿠키 있습니다.+ 단편 좋습니다.
- 사진 출처 : 네이버 영화 - 재밌게 잘 봤다. 각국 묘사는 역시 예기로 기득찬 집단 답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본 묘사는 온갖 아이콘으로 범벅이 되어 작업할 때 아티스트들이 굉장히 즐거웠을 듯(또는 고생했을 듯) 하다. 이어지는 추기경과 영국 여왕 대목에선 아주 그냥... 물론 이 작품은 카 시리즈가 픽사 최선의 시리즈는 아님을 1편보다 조금 더 도드라지게 보여준다. 게다가 장르마저 스파이 소동극으로 바뀌었으니 시리즈로써의 이질감도 다소 있는 편인데, 요란스럽기보다 깔끔하게 잘 빚은 연출이 역시나 하는 생각이 든다. - 게다가 반가운 귀도. 하지만 대사가 늘었다 ㅠㅠ) 귀도가 말을 많이 할 수도 있구나. 흑흑. - 그런데 이 작품 [토이스토리3]와 비슷한 질문을 던진다. 낡아서 한때 애정을 가진 이들..
[장난감 놀이] 앤디처럼 방안에서 장난감과 놀았었다. 앤디처럼 쾌활하지도 못해서 바깥에 나가서 놀면 코피라도 터지는 줄 알고 - 실은 실제로 터진 적도 있고 - 혼자 노는 것이 좋았고, 누워서 변신 로봇과 '안'변신 로봇들을 양손에 쥐고 대결을 시키고 스토리를 짰다. 친구가 생겼다. 더 많은 로봇들이 친구의 방 안 박스 속에 있었고, 이젠 둘이서 착한 편, 나쁜 편 나눠서 스토리를 짜고 대결을 하고 놀았다. 이게 완숙해지자 서로의 마음 속 조율까지 가능했다. 나쁜 편을 하는 쪽은 초반엔 굉장히 강력하게 착한 편을 몰아버리지만 후반에 착한 편이 힘을 각성하거나, 구원 격의 캐릭터가 등장할 때는 져주며 양보하는 법도 아는 완숙의 경지에 다다랐다. 이런 조율과 규칙은 중간에 '제3자'의 친구나 동생이 생기면 ..
[으아악 너무 좋아] 알고 있었다. 처음 부분이 이렇게 시작하는걸 나는 애초부터 알고 있었다. 그런데 초반부터 못 참겠더라. 두 사람이 만났을 때 아 저 사람이 그 사람이구나 싶어서 시큰해지는걸 애써 눌렀는데, 화면이 전환되면서 '클리닉'이 나올 때 1차 눈물. 그걸 또 애써 붙잡고 눌렀는데 결국에 아 못 참겠더군. 옆도 못 돌아보겠고 앞에 있는 아주머니들이 듣는게 싫어서 작은 소리로 콧물 넘기고 눈물은 나중에 수습했다. 아니 픽사 이 양반들 왜 [Wall.E] 때부터 초반에 사람 맘을 휘어잡는 것이지? 그래도 그땐 난 눈물은 없었다. 그런데 이건 좀 심하잖아. 하아. 그러고보니 픽사 작품들 중에서 이렇게 한 개인의 여정을 차분하게 흩어내는 수법은 처음이었던 거 같다. 클리닉이 나오고, 법정 출두 명령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