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스타워즈 (15)
Rexism : 렉시즘

디즈니 플러스의 스타워즈 라인업에서 [만달로리안]과 [북 오브 보바 펫]은 익히 알다시피 스타워즈의 은하계에서 인물들의 문제가가 비단 제다이와 다크 포스에서만 존재하지 않다는 것을 새삼 알려줬다. 이미 [(한) 솔로] 같은 단독 작품에서도 이런 시각은 확대되었지만. 상대적으로 평가가 기대만큼 좋지 못했고 제작진의 판단은 [로그 원]의 스핀오프이자 프리퀄에 해당하는 단독 시리즈로 가자는 판단이었던 모양이다. 키시안 안도르가 주인공으로 나오고, 극화의 서사에서 일종의 스파이 장르를 표방하자는 노선은 다소 우려와 궁금증을 낳았지만 시즌 1의 마무리를 보니 이런 우려들은 여러 면에서 다행히 누그러지는 수준이었던 듯하다. 인정과 흐릿한 판단력 대신 거침없이 상대방의 머리에 라이플을 쏘는 하드 보일드 세상의 주인공..

[만달로리안], [북 오브 보바 펫] 등의 라인업에서 음악을 사용할 때 사실 해당 디렉터들은 존 윌리암스의 고유의 테마나 모티브를 따오고 싶은 충동을 누르느라 힘들었을 것이다. 그래도 그들은 웨스턴 장르나 갱스터 장르 등의 주변부 콘셉트로 자신만의 타이틀을 작업했을 터인데, 이번 [오비완 케노비]는 그런 의미에서 일부 해방감을 느꼈을 것이다. 작품 자체가 실상 오더 66으로 명명된 프리퀄 시기의 제다이 참극부터 다루고 있거니와 향후 '저항'의 불씨를 기반으로 한 파생의 고리가 될 것이기에 나름의 명분을 얻은 듯하다. 나름 자유롭게 헤이든 크리스텐슨의 아나킨 스카이워커/다스 베이더를 비롯 다스 시디어스, 레아 오르가나 등 스타워즈 에픽의 주요 인물들이 등장하고, 마지막 에피소드엔 콰이곤 진(리암 니슨 분)..

디즈니 플러스를 등에 걸친 갑주 삼은 루카스 필름의 공세는 지금까지의 [만달로리안], [북 오브 보바 펫] 등은 물론 앞으로도 예정되어 있는 [오비완 케노비]. [아소카], [안도르]로 이어질 모양이고, 팬층의 지갑을 안정적으로 놔두진 않겠다는 당당한 엄포로 보인다. [- 비전스]는 포스의 안녕을 기원하는 이런 시청자를 위한 시리즈 작품이며, 특징적으로 일본 애니메이터들이 제작한 작품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첫 번째 작품 '결투'부터 구로사와 아키라 시대의 흑백 영상물을 연상케 하는 면이 있어, 이미 [만달로리안]을 통해 스타워즈 클래식 분위기와 웨스턴 취향의 결합을 봤던 이들에게 낯설지 않은 방식일 것이다. 일본 검객류의 코드인 스승과 제자의 관계, 곤란한 처지가 된 힘없는 서민과 그들을 위협하는 무..

[만달로리안]으로 디즈니 플러스 속 스타워즈 드라마의 첫 순항을 마친 루카스필름의 위세는 아마도 앞으로도 여전할 듯하다. [아소카], [오비완 케노비] 등의 라인업은 그간 프리퀄, 클래식, 애니메이션을 채우던 스타워즈 서사의 살을 키울 것이고, [북 오브 보바 펫]은 이런 예외 없는 행보의 확인이라 하겠다. 명예로운 기억보다는 분명 덜컹거렸던, 장고 펫-보바 펫 부자의 이야기는 아예 이렇게 연대기의 조각이 되어 세상에 나왔다. 물론 이를 가능하게 한 것은 [만달로리안] 시즌 1,2의 평탄한 결실 덕이 아닐까 싶은데, 실제로 [북 오브 보바 펫]의 전개엔 딘 자린은 물론, 많은 이들이 기다렸을 아기 요다(...) 구로그의 건재를 확인시켜 준다. 통상 서부극의 외연을 가지고 있던 [만달로리안]에서 이번엔 보..

나의 디즈니 플러스 한 달 한정 경험의 시점이 마무리되어가고 있다. 생각보다 좋았던 [만달로리안]의 시즌 2를 마저 시청했다. 여전히 기가 막힌 서사다. 구로사와 아키라 풍으로 그려진 웨스턴이랄까. 촌 마을에 고충의 삶을 살아가는 은하계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을 구제하는 사무라이, 아니 바운티 헌터가 등장한다. 실상 스타워즈와 웨스턴, 일본 사무라이 활극과의 연관성은 오래도록 팬들에게 이야기된 대목들이다. [만달로리안]에 이르러선 아예 시즌 2의 매듭을 통해 별칭 꼬마 요다 그로구에 관련한 서사로 '포스가 함께 하길'이라는 오래된 문구를 재현하기에 이른다. 이렇게 죄수 수송 열차 털기, 운송 열차 파괴 등의 웨스턴 화법을 은하계 속 광선총과 드로이드, 항속 운항이라는 장르 장치를 통해 충실히 풀었다. 이..

영미권 크리에이터가 스타워즈 덕후임을 고백하는 것은 제법 자연스러운 일일 텐데, 스타워즈 세계관의 바운티 헌터들이 바글바글한 웨스턴 풍의 드라마 역시 한 번은 자연스럽게 등장했을 법한 작품이긴 하다. 이유는 알 수 없으나 들쑥날쑥한 성취 이력에도 불구하고 웬일인지 디즈니 산하 라인업에서 총애를 받는 존 파브로가 진두지휘 중인 작품이다. 스타워즈는 알다시피 구로사와 아키라의 사무라이 물의 뿌리는 물론 훗날 [듄] 등의 현대 고전에서까지 영감을 제공한 원천이다... 같은 설명이 새삼 필요할까. [만달로리안]은 이 원천의 줄기 중 하나를 다루고 있다. 일종의 아이 품고 떠도는 로닌 스토리는 이런 식으로 변주의 쾌감을 제공한다. 그걸 스톰 트루퍼, 그들이 탑승하는 스피더, 형식적인 프로토콜에 충실한 드로이드, ..

초반에 왜 이렇게 진행이 바빠보이지 싶을 때부터 우려는 들었다. [깨어난 포스]가 새로운 젊은이들을 소개하고, 그들이 각자 가지고 있는 가능성을 표현하는데 시간을 소비하느라 어쩔 수 없었을 것이고, [라스트 제다이]가 그 가능성을 바탕으로 잠재력을 발현하는데 시간을 소비할 수 밖에 없어서 그런 것일테다 싶었다. 결국은 [새로운 희망](인재를 발견하다), [제국의 역습](수련하고 배우고 복귀하고, 전체적으로 약간의 어두운 암운을 깐다)의 이야기를 반복하는 셈이다. 우리는 그것을 이미 짐작했고 이미 루카스 본인이 프리퀄에서 반복했음을 학습했다. 그 학습 덕에 밀린 이야기를 쌓아둔 3편에 들어서 진행이 빨라지는 것도 이해했을 것이다. 그런데 그것도 굉장히 조급해 보이고 좀 불안해 보였다. 그냥 그럴 수 있다고..
외전이라고 하지만 그 누구도 무시하기 힘든 클래식의 도입부 직전을 맡았던 [로그 원]의 입지에 비한다면... 한 솔로라는 인물에 대해 치명적인 매력을 느끼기 힘든 타입이라면 이 프로젝트에 대한 호의를 느끼기엔 힘들었다. 표류하는 감독 인선과 올든 에런라이크 배우의 한계는 명확히 보였기에 우려를 하기보다는 일정 수준 포기를 할 수 밖에 없었다. 그래도 괜찮았다. 바톤을 울며 겨자먹기로 받은 론 하워드는 베테랑의 기량으로 잘 수습했고, 외전의 형태에도 불구하고 그 안에서도 자신만의 사가를 낳을 계기를 만들었다. 게다가 조지 루카스의 프리퀄에 대한 체면을 챙겨주는 대목은 의외의 즐거움이었다. 역시나 제일 좋았던 것은 은하계 놈팽이 이야기 안에서도 중요한 테제는 ‘저항’ 임을 잊지 않았다는 점이다. 괜찮은 성격..